수많은 사상자를 냈던 대한민국의 대형 참사들 I

전 국민의 가슴을 내려앉게 했던 최악의 사고들이 존재한다. 1970년부터 수십, 수백 명 이상의 사상자를 낳았던 대한민국의 대형 참사들을 모아봤다.



   와우아파트 붕괴사고 (1970)



1970년 4월 8일, 서울 마포구 청천동에서 5층짜리 와우아파트가 붕괴됐다.

당시 서울시장 김현옥은 달동네 재개발을 위해 주로 높은 산 위에 아파트를 지었다. 서울시 공무원들은 아파트를 너무 높은 곳에 지으면 위험하고, 시민들이 오르내리는 데도 불편하다고 했지만 김현옥은 이렇게 말했다. "야 이 OO들아, 높은 곳에 지어야 청와대에서 잘 보일 것 아냐"


결국 1969년 6월부터 짓기 시작해 6개월 만에 완공된 와우아파트... 1970년 붕괴사고로 인해 사망자 33명, 부상자 40명을 낳았다.



원인은 무면허 건설업자의 부실공사였다. 땅을 파서 기반을 탄탄하게 만든 후 건물을 올리는 것이 정상이었으나 6개월이라는 짧은 시간에 아파트를 세우느라 지반 공사를 전혀 하지 않았다. 여기에 건설업자(대룡 건설)는 무면허였다.


대룡 건설은 아파트 사업권만 따내고 시공도 하청으로 넘겼다고 한다. 지반도 다지지 않은 와우아파트는 하청 과정에서 공사비도 순삭됐다. 원래 공사비는 1동(5층)을 짓기에도 부족한 1100만 원 정도 였는데, 업자가 하청을 주는 과정에서 1동당 125만 원을 떼먹어서 공사비는 더 줄어들었다. 이러한 날림, 부실 공사의 피해는 고스란히 시민들이 떠안고 말았다.



   대연각호텔 화재 사고 (1971)



1971년 12월 25일, 서울 중구 대연각 호텔. 이날 호텔 커피숍에서 가스 폭발이 발생했다.

당시 대연각 호텔은 국내 최고층 빌딩 중 하나였으나 스프링클러, 화재 차단시설, 비상구 같은 건 없었다.


화재 발생 1시간 30분 만에 21층 전체가 불길에 휩싸였고, 고층에 있던 사람들은 연기와 불을 견디지 못한 채 맨몸으로 호텔에서 뛰어내렸다. 결국 이 사고로 163명이 목숨을 잃었다.



   대한항공 007편 여객기 격추 사건 (1983)



1983년 9월 1일, 미국 뉴욕을 출발해 서울로 가던 대한항공 007편 여객기가 소련 상공에서 격추된 사건이다.

당시 대한항공기는 관제사와 조종사의 실수로 정상 항로를 벗어나 소련 영공에 접근했고, 이 항공기를 미국의 공군기로 간주한 소련은 MIG-23전투기와 SU-15 전투기를 출격시켜 요격에 나섰다.


007편 부근에 도착한 소련 전투기는 영공 침범에 대한 경고 사격을 가했지만 이는 예광탄이 아닌 불빛이 없는 철갑탄이었고, 007편 조종사들은 소련의 경고를 인지하지 못했다.


그러자, 뒤이어 도착한 소련 전투기가 공격명령을 받아 미사일을 발사, 007편 격추, 탑승객 269명 전원이 사망했다.



   KAL기 폭파 사건 (1987)



1987년 11월 29일, 이라크 바그다드를 출발한 대한항공(KAL) 858편은 UAE 아부다비를 경유해 서울로 향하고 있었는데, 미얀마 앤다만해역 상공에서 공중 폭파된 사건이다.


이 사고로 승객과 승무원 119명이 전원 사망하는 참극이 벌어졌다. 당시 북한의 지령을 받고 폭파를 저지른 것으로 알려진 김현희는 한국으로 압송돼 사형 선고를 받았으나 1990년 특별 사면으로 풀려났다.



   부산 구포 열차 전복사고 (1993)



1993년 3월 28일 오후 5시 30분, 부산 북구 구포역 인근 공사현장에서 벌어진 사건이다.

서울발 부산행이었던 무궁화호 열차가 가라앉아 있는 선로를 발견하고 비상 제동을 시도했지만 탈선 후 전복됐다. 이 사고로 78명이 사망했고 198명이 부상당했다.


사고 원인은 지반 약화, 열차 운행선 밑에 지하 전력구 설치를 위해 시공사가 발파작업을 벌여 지반이 약화된 것이었다. 시공사였던 삼성종합건설은 철도법 규정을 무시한 채 공사를 진행해 비난을 받았다.



   아시아나항공 733편 추락 사고 (1993)



1993년 7월 26일, 아시아나항공 733편이 한 야산에 추락해 수십 명이 사망한 사건이다.

당시 김포공항을 출발한 733편은 목포공항에 총 3회 정도 착륙을 시도했으나 실패했고, 결국 전남 해남군 화원면 마산리 뒷산에 추락했다. 당시 탑승자 110명 중 기장과 부기장을 포함해 68명이 사망했다.


사고 당일 목포상공은 소나기가 내렸고, 기상상태가 좋지 않았다고 한다.

당시 목포공항은 서해안에 인접해 있어 잦은 안개와 돌풍, 짧은 활주로 등으로 '결항률 전국 1위 공항'으로 유명한 곳이었다.


사고 원인으로 조종사의 과실이 인정됐고, 아시아나항공 측은 피해자 유족들에게 1인당 3억 2000만 원 상당의 보상금을 지불했다.



   서해훼리호 침몰 사고 (1993)



1993년 10월 10일, 전북 부안군 위도면을 떠나 격포항으로 가던 서해훼리호가 침몰했다.

서해훼리호 출항 당시 파고(파도 높이)가 2~3M로 날씨가 좋지 않았다. 이에 백운두 선장(당시 56세)은 높은 파도 때문에 운항이 어렵다고 판단했고, 회향을 위해 뱃머리를 돌리려다 사고가 시작됐다.


백 선장이 뱃머리를 돌리던 중 높은 파도 때문에 배가 심하게 흔들리면서 곧바로 배가 침몰했다. 이 사고로 326명의 승객 중 292명이 숨졌다.


사법당국은 백 선장이 살아있을 확률을 98%라고 단정했다. 생존자 중 한 명도 백 선장을 보지 못했다고 진술했기 때문이다.



이후 검찰은 백 선장을 지명수배했고, 백 선장의 가족들은 죄인처럼 숨죽이며 살아야 했다. 그러나 백 선장은 사고 5일 만에 침몰한 배의 2층 통신실에서 숨진 채 발견됐다. 그는 해경에 구조 요청을 하려고 통신실에 뛰어들었다가 사망한 것으로 확인됐다. 백 선장은 위급한 상황에서도 마지막까지 승객의 안전을 지키려고 했던 것이다.


전북 부안군 위도면 주민들은 사고 당시 주검으로 발견된 백운두 선장을 진정한 뱃사람으로 기억하고 있다. 서해훼리호 참사가 20년을 훌쩍 넘겼지만 매년 위도 앞바다에서는 사망자들과 선장의 넋을 기리는 추모제가 열리고 있다.



   성수대교 붕괴 사고(1994)



1994년 10월 21일 오전 7시 40분, 서울 성동구와 감남구를 연결하는 성수대교가 붕괴됐다.

사고 원인은 내부 결함, 건설 당시 다리 밑 부분을 연결하고 있던 상부 트러스 48m가 부실공사로 붕괴된 것이다.



트러스는 여러 개의 뼈대를 삼각형으로 엮은 구조물, 다리 밑부분을 이루고 있던 트러스는 제대로 연결되지도 않았고, 연결 부분도 심하게 녹이 슬어 있었다. 이 사고로 직장인과 학생 등 32명이 사망, 17명이 부상당하면서 국민들은 한동안 큰 충격에 빠졌다.


이 글을 공유하기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