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경제를 마비시키기 위한 나치의 비밀 작전

1939년 9월 18일, 제2차 세계대전이 발발한 지 2주 밖에 되지 않았을 시점에 독일 재무성은 비밀작전을 계획하게 된다. 그것은 바로 '안드레스(Andres)' 작전이었다.



작전 내용은 대규모로 위조 파운드를 제조, 영국 상공에 살포하여 영국 경제를 붕괴시키는 것이었다. 하지만 이 계획은 당시 'SS(나치 친위대)'의 수장이었던 '히믈러'에 의해 좌절되고 만다. 그런데 1942년 재무성의 작전을 좌절시킨 장본인인 SS가 도리어 그 작전을 부활시키는데...



1942년, SS 중령 '베른하르트 크루거'가 이 작전의 총책임자로 임명되었는데, 그의 이름을 따서 '베른하르트 작전(Operation Bernhard)'이라 명명한다.


작전의 총책임자가 된 베른하르트는 수용소에 수용되어 있는 유대인 기술자들과 인쇄공, 회계사는 물론 패션디자이너까지 동원한다. 이들 중에서 핵심 인력은 유대인 위조범 '솔리 스몰리아노프'와 유대인들이었다. 그를 비롯한 유대인 기술자들은 수용소에서 차출되어 옮겨진다.



그곳은 바로 19구역이라고 불리는 베를린 근교의 모처였다. 이곳에서는 제한적이나마 수감자들에게 개인 여가시간을 제공하였고, 사복과 세면실, 화장실이 포함된 개인 공간이 있었다. 식사에는 수프와 커피가 딸려 나올 정도로 아주 좋은 조건에서 근무할 수 있었다. 하지만 유대인들은 마냥 행복하지 않았다. 이 작전이 끝난 후의 자신들의 운명이 어떻게 될 것인가는 너무나도 자명한 것이었기 때문이다.


이후 19구역의 기술과 규모는 날로 성장해나갔고, 전문 회계실과 인쇄소, 사진 연구소 등등의 시설까지 별도로 갖추게 됐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19구역에서 만들어내는 파운드화와 영국에서 생산해낸 진짜 파운드화의 갭은 여전히 좁힐 수가 없었다. '석영 램프' 불빛을 비추었을 때, 진짜 파운드화와 위조 파운드화의 색이 달라지는 문제가 특히 그랬다.



이 문제가 해결되지 않고 진전이 없게 되자, 총책임자 베른하르트는 문제가 해결되기까지 위폐 제조를 중단할 것을 지시한다. 이에 유대인 기술자들은 공포를 느꼈다.



위폐 생산을 중단한다는 것은 자신들의 이용 가치가 더 이상 없는 것이므로 죽을지도 몰랐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유대인 기술자들은 목숨을 걸고 밤낮으로 이 문제에 매달리게 된다. 이를 증명이라도 하듯 19구역 대형 인쇄기에 화재가 발생한다.


이때를 노려 유대인 기술자들은 탈출을 감행하려 하지만, 총책임자 베른하르트는 화재현장을 통제하고 소방관의 진입조차도 막아버린다.



유대인 기술자들은 완벽한 위조지폐를 만들어내는 것 외에는 자신들에게 탈출, 생존 방법이 없다는 것을 깨닫고 문제 해결에만 몰두하게 된다. 결국 유대인 기술자들은 진짜 파운드화와 구별조차 할 수 없는 완벽한 잉크를 제조하는 데에 성공하고야 만다.


그리고 다음 해, 총책임자 베른하르트는 주머니에서 5파운드화를 꺼내더니 "이걸 보게, 제군들. 이제 이건 대영제국 은행에도 유통되고 실제로 쓰이고 있다네, 나는 자네들이 자랑스럽네, 어서 공장을 확장하자고"라는 말을 하며 아주 기뻐했다고 한다.


이후 베른하르트는 인력을 늘리고 체계적으로 파운드화를 대량 생산하기 시작했다.

위조 파운드화는 4단계로 나뉘어 생산, 유통되었는데, 1단계는 전문가도 구분할 수 없는 완벽한 위폐로, 각국의 독일 스파이들에게 공작금으로 제공되었다. 총 생산량의 10~15%를 차지했다. 2단계는 그보다 조금 낮은 퀄리티지만 일반인은 속일 수 있고, 경우에 따라선 전문가도 속일 수 있는 정도의 수준이었다. 3단계는 중립국과의 무역에 쓰였으며 4단계는 영국 상공에 살포할 예정이었다.



결과적으로 이 작전을 위해 1억 3천 4백만 파운드가 위조되었으나 독일의 공군 참모총장 괴링과 히믈러의 의견이 잘 맞지 않아 실행되지 못했고, 1944년에 이르러서는 작전 실행은커녕 제공권을 완전히 상실하다시피 하여 작전은 실패로 돌아간다. 덧붙여 1945년 초에 들어서는 미국 달러화의 위폐 제작까지 시도했으나 나치의 패전으로 인해 실행되지 못했다.



이런 내용은 영화로도 만들어졌다. '카운터페이터 (The Counterfeiter, 2007)'


이 글을 공유하기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